투자/정치 사회

인샬라(Inshallah)와 샬롬(Shalom)

neword_co 2024. 12. 8. 11:44
728x90
반응형

인샬라(Inshallah)와 샬롬(Shalom): 중동 문화 속 세계관과 사고방식의 표현

중동에서 흔히 들을 수 있는 두 단어, "인샬라(Inshallah)"와 "샬롬(Shalom)"은 그 어원을 넘어 이 지역 사람들의 삶과 문화를 깊이 이해할 수 있는 열쇠로 작용합니다. 두 단어는 각각 아랍어와 히브리어에서 기원했으며, 표면적으로는 다르게 보이지만, 중동의 독특한 세계관과 사고방식을 공유하고 있습니다.

인샬라(Inshallah): '신의 뜻이라면'


"인샬라"는 아랍어로 "신이 원하신다면(God willing)"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표현은 일상적인 대화에서 매우 자주 사용되며, 미래에 일어날 일을 신의 뜻에 맡기는 겸손한 태도를 담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누군가 내일 만날 계획을 세우면서 "내일 보자"라고 말하면 "인샬라"로 답하며, 그 일이 실제로 일어날지 여부는 신의 뜻에 달려 있다고 여깁니다.

이 관용적 표현은 아랍 문화에서 운명론적 사고방식의 흔적을 보여줍니다. 인간의 의지와 노력은 중요하지만, 결국 모든 것은 신의 뜻에 달려 있다는 믿음은 개인적이고 공동체적인 결정을 내릴 때 깊은 영향을 미칩니다. 이는 불확실한 상황을 받아들이고, 마음의 평온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샬롬(Shalom): '평화와 안녕'


"샬롬"은 히브리어로 "평화"를 뜻하며, 단순히 전쟁이 없는 상태 이상의 풍부한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완전함", "조화", "번영" 같은 개념을 포함하며, 히브리인들의 전통적인 인사말로 사용됩니다. 누군가에게 "샬롬"을 말한다는 것은 단순히 안녕을 비는 것이 아니라, 그들의 삶이 조화롭고 충만하기를 기원하는 마음을 담고 있습니다.

이스라엘과 유대교 문화에서 "샬롬"은 종교적, 철학적 의미를 가지며, 평화를 추구하는 정신적인 기반을 제공합니다. 특히 역사가 복잡하고 갈등이 많았던 중동의 상황에서 "샬롬"은 단순한 단어 이상으로, 지역 사회에서 평화를 갈망하는 상징으로도 읽힙니다.


중동 문화와 시간에 관한 다른 인식

중동에서는 시간에 대한 개념과 이를 대하는 태도가 서구 사회와 다르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많은 서구 문화가 시간 관리와 효율성을 강조하는 반면, 중동에서는 보다 유연하고 관계 중심적인 시간 개념이 자리 잡고 있습니다.
이는 "인샬라"와 같은 표현에서도 드러납니다. 예를 들어, 약속 시간에 조금 늦는 것은 큰 문제가 되지 않는 경우가 많으며, 인간 관계의 중요성이 시간의 엄격함을 능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러한 문화적 태도는 서구인의 눈에는 종종 느리거나 비효율적으로 보일 수 있지만, 중동 사람들에게는 인간성과 공동체를 중시하는 철학으로 비춰집니다. 이는 삶의 예측 불가능성을 인정하고, 모든 것이 신의 계획 안에 있다는 믿음에서 비롯됩니다.

인샬라와 샬롬: 신의 뜻과 인간의 평화

"인샬라"와 "샬롬"은 각각 아랍과 유대 문화의 대표적 표현이지만, 모두 삶의 불확실성을 받아들이고, 궁극적으로 평화와 조화를 추구한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가집니다. 중동 사람들은 신의 뜻을 받아들이며, 동시에 그 뜻이 인간 사회에서 평화를 가져오기를 기원합니다. 이러한 태도는 종교적 관점에서 뿐만 아니라, 그들의 일상적인 관계와 대화에서도 자연스럽게 드러납니다.

맺음말

중동은 다양한 민족과 종교가 공존하며 때로는 갈등을 겪는 복잡한 지역입니다. 그러나 "인샬라"와 "샬롬"이라는 단어 속에서 우리는 이 지역 사람들이 공통적으로 품고 있는 희망과 믿음을 엿볼 수 있습니다. 신의 뜻을 존중하며, 평화를 추구하는 문화적 철학은 중동의 어려운 역사 속에서도 인간성을 잃지 않게 하는 중요한 기반이 되어왔습니다.

일상의 말 중에서도 옛부터 내려오는 민족의 성격이 담겨있습니다.


지금은 안타깝게도 약간은 비틀어진 신념에 세뇌되어 신이 함께하는 평안의 뜻을 이해 못하고 전쟁속에 사는 중동에 평화가 함께하길 바랍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