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부동산

아파트 민간임대(기업형 임대) 시장이야기

neword_co 2024. 12. 14. 10:08
728x90
반응형

"고급아파트도 아닌데 월세가 300만원?" 외면받는 기업형 임대주택
https://biz.heraldcorp.com/article/10013311?ref=naver

“고급아파트도 아닌데 월세가 300만원?” 외면받는 기업형 임대주택[부동산360]

임차인 모시기에도 공실 발생 인근 시세 대비 비싼 임대료로 외면 [헤럴드경제=정주원 기자] 전세사기 여파와 금리 인상으로 전세보다 월세를 택하는 이들이 늘어나는 가운데, 기업형 임대주택

biz.heraldcorp.com



오늘 이 뉴스 기사를 보다가 생각해봅니다.

개인적으로 공급자와 수요자 사이에 굉장히 갭이 큰 분야가 있다고 생각하는데요,
민간임대 아파트 시장
입니다

최근 전세 사기와 금리 인상으로 월세 수요가 늘어나고 있지만, 민간임대 아파트는 높은 임대료와 관리비 때문에 공실 문제가 발생하고 있어요
수요와 공급사이에 큰 갭이 있죠 ㅎㅎ



기사 내용을 보면,
'에피소드 용산'이라는 단지에서는 전용 24㎡가 보증금 2,000만 원에 월세 250만 원인데
인근 단지에 비해 훨씬 비싼 수준
이라 수요자들에게 부담이 클 수밖에 없겠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이런 높은 임대료가 수요자들에게는 큰 장벽으로 작용하면서 공실률도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에요.

문제점 1. 높은 임대료와 관리비
민간임대 아파트의 임대료는 일반적인 월세와 비교해도 지나치게 높아 수요자들에게 큰 부담을 주고 있어요. 특히 관리비까지 포함하면, 수요자 입장에서는 기존 아파트를 임차하는 것보다 경제적 메리트가 떨어지는 경우가 많아 보였어요.

문제점 2. 불안정한 계약 조건
공급자 중심의 계약 구조도 문제라고합니다.
임대 기간이나 갱신 조건이 명확하지 않은 경우가 많아서 수요자들이 안정적인 거주 환경을 보장받기 어려운 상황이에요.
이러한 불안정한 계약 조건은 민간임대의 공공성을 약화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었어요.

문제점 3. 공급자와 수요자 간 신뢰 부족
이런 구조적 문제들로 인해 공급자와 수요자 간 신뢰가 부족하다는 점도 큰 문제라고 생각했어요.
임대료나 계약 조건이 공급자 중심으로 설계되다 보니, 수요자 입장에서 ‘안심하고 거주할 수 있는 곳’이라는 인식이 부족한 것 같았어요.
건설업계의 자금난등도 불안감을 키우는 요인이죠






결국 민간임대 아파트가 본래 취지를 살리려면 임대료와 계약 조건을 현실적으로 조정할 필요가 있을 것 같아요.
수요자의 경제적 상황을 고려하는 정책적 보완도 중요하겠죠.
동시에 공급자와 수요자 간 신뢰를 높이는 노력이 병행되어야만 공실 문제도 해결되고, 수요자들에게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했어요.

이렇게 민간임대 아파트는 긍정적인 취지가 분명하지만
이런 식으로 수요자(안전하고 편안한 시설과 적당한 가격의 월세를 내려는 사람)의 입장에 맞지않다면
활성화되긴 쉽지않을 것 같아요


(차라리 사버리고말지)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