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뜩 아이들의 옷을 입히다보면
특정 브랜드의 옷을 선호하거나 어떤 브랜드 옷을 입으면서 "이거 친구들한테도 인기 많은거야"
라고 아직 미취학아동 인데도 이야기 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그래서 알아보는 브랜드 충성도에 관한 이야기입니다
유아기부터 발생하는 브랜드 충성도는 소속감과 관련이 깊습니다.
아이들이 특정 브랜드에 대해 충성심을 가지게 되는 이유는 여러 심리적, 환경적 요인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이를 몇 가지 요인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습니다.
1. 사회적 소속감 (Social Belonging)
유아는 자신이 속한 가족, 또래 집단, 또는 주변 환경에서 반복적으로 접하는 브랜드를 자연스럽게 선호합니다.
예: 부모가 특정 브랜드를 지속적으로 사용하면, 아이는 그 브랜드를 "우리 가족의 것"으로 인식하며 친근감을 느끼게 됩니다.
2. 익숙함과 안정감 (Familiarity and Comfort)
유아기에는 익숙한 것이 안전하다는 심리적 기제가 작용합니다. 반복적으로 접하는 브랜드는 아이에게 안정감을 제공합니다.
예: 늘 사용하는 로고, 캐릭터, 색깔 등은 아이의 기억에 각인되어 브랜드 선호도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3. 감각적 자극과 재미 (Sensory Appeal & Fun)
유아기는 시각적, 청각적 자극에 매우 민감합니다. 밝고 재미있는 브랜드 디자인, 또는 유쾌한 광고 음악은 아이들에게 큰 영향을 미칩니다.
예: 특정 캐릭터가 등장하는 브랜드는 아이들이 해당 캐릭터를 소유하거나 소비하려는 욕구를 자극합니다.
4. 정체성과 자존감 형성 (Identity and Self-esteem)
아이들은 자신이 좋아하는 브랜드를 통해 "내가 누구인가"를 표현하려는 욕구를 가집니다.
예: "나는 이 브랜드의 팬이야"라는 정체성은 또래 관계에서도 소속감을 증대시킵니다.
5. 사회적 학습 (Social Learning)
광고, 미디어, 부모와 친구를 통해 특정 브랜드를 접하면서 학습하게 됩니다.
예: 동화책이나 애니메이션에서 자주 등장하는 제품은 아이들에게 친숙하게 느껴지고, 이를 통해 충성도가 형성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맺음말
이처럼 아이들이 아직 미취학 아동임에도 특정 브랜드를 선호하거나 친구들과의 관계를 고려해 브랜드를 이야기하는 모습은, 브랜드가 단순한 물건을 넘어 정체성과 소속감의 상징으로 자리 잡고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따라서 부모로서 아이들이 브랜드를 단순히 소비의 대상으로만 받아들이지 않도록, 창의적이고 건강한 브랜드 경험을 통해 긍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도록 이끌어 주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1. 학술 논문 및 연구
John, Deborah Roedder. "Consumer socialization of children: A retrospective look at twenty-five years of research."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999.
이 논문은 어린이의 소비자 행동과 브랜드 선호 형성 과정을 심층적으로 분석합니다.
Keller, Kevin Lane. "Brand synthesis: The multidimensionality of brand knowledg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2003.
브랜드 지식이 소비자 충성도와 연결되는 과정을 설명합니다.
2. 심리학 및 마케팅 관련 서적
Martin Lindstrom, "Brandchild: Remarkable Insights into the Minds of Today's Global Kids and Their Relationships with Brands." (2003)
아이들이 브랜드와 어떻게 연결되고, 충성도를 형성하는지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설명합니다.
Piaget, Jean. "The Psychology of the Child."
유아기의 인지 발달이 브랜드 충성도 형성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 이해하는 기초 자료가 될 수 있습니다.
3. 주요 연구 보고서 및 통계 자료
Nielsen Report: "How Kids Are Influencing Purchase Decisions Today" (연도별 발표)
아이들의 구매 결정 과정에 브랜드 선호가 미치는 영향 분석.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APA): "Advertising to Children and Teens: Current Practices"
아이들에게 미치는 광고 효과와 브랜드 연결성 설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