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해 국가에서는 간첩행위 이지만
간첩행위를 지시한 국가에서는 정보활동이죠
트럼프 2기 에서 중국간첩에 대하여 거론하였는데요
이게 정말 윤정부를 지지하는 걸까요?
과거 어떠한 일이 있었는지 알아보고 그 답을 알아봅시다
트럼프 정부 시절 중국 간첩 문제와 관련된 주요 사건들을 요약해드리겠습니다:
1. 정치적 긴장
-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에 대해 강경한 stance를 취했으며, 국가안보 측면에서 중국의 간첩 활동을 심각한 위협으로 인식
- 미중 무역전쟁과 동시에 첩보 및 기술유출 문제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응
2. 주요 사건들
- 화웨이 통신장비 기업에 대한 제재
- 중국 유학생 및 연구원들의 비자 제한
- 중국 군인 출신 연구원들의 입국 금지
- FBI의 중국 관련 첩보 수사 강화
3. 구체적 사례
- 2018-2020년 사이 다수의 중국 연구원들이 학술 및 기술 간첩 혐의로 기소
- MIT, Harvard 등 주요 대학 중국 연구원들의 비자 취소
- 중국 군 관련 연구원들의 연구소 출입 제한
가장 주목할 만한 사례들은 다음과 같다:
• 하버드 대학 화학과 찰스 리버 체포 사건
- 2020년 1월, 나노기술 연구원 찰스 리버가 중국 정부와 연계된 간첩 혐의로 체포됨
- NASA 연구소에서 근무하며 핵심 군사기술 정보를 중국에 유출한 혐의
- 체포 당시 중국 정부로부터 연간 5만 달러를 수령한 것으로 밝혀짐
• MIT 연구원 시셩 장 사건
- 2019년 6월, MIT 물리학 연구원이 중국 정부의 인재 유치 프로그램 "천인계획"에 연루
- NASA 연구 데이터를 무단으로 중국에 전달한 혐의로 기소
- 연구 자금과 특허권 은폐 등의 혐의도 동시에 제기됨
• 화웨이 기술 제재
- 중국 통신장비 기업 화웨이에 대한 전면적인 기술 제재 조치
- 미국 기업들의 화웨이와의 거래를 금지하고, 글로벌 공급망에서 배제
- 5G 통신망 보안을 이유로 한 강력한 제재 조치
4. 법적 대응
- 경제스파이법 강력 적용
- 국가안보를 이유로 한 엄격한 기술이전 규제
5. 결과
- 미중 간 학술/기술 교류 급격히 감소
- 양국 간 첩보 및 안보 긴장 고조
이 내용들은 트럼프 정부 당시 공개된 공식 자료와 언론 보도를 바탕으로 정리한 내용입니다.

중국은 이전부터도 미국에 대한 기밀수집을 끊임없이 시도하였고 그것은 국내에서도 마찬가지 였습니다.
기존의 있던 내용을 가지고 저런식으로 연관지어 기사를 뽑는 것은 어떤분들은 잘못 이해할수도 있을것 같습니다.
항상 배경을 알아보는 습관이 필요한 시대입니다.
'투자 > 정치 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표과정 알아보기 (1) | 2025.01.17 |
---|---|
부동산 재벌 출신 트럼프의 새로운 투자 부동산은 어디? 그리고 우리에게 미칠 영향 (그린란드) (0) | 2025.01.12 |
우원식 국회의장(나이,경력,관련주) (3) | 2024.12.16 |
탄핵소추안 찬성 국민의힘 의원명단 (2) | 2024.12.13 |
권성동 의원 나이,지역구,경력 (3) | 2024.1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