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는 본질적으로 불확실성을 동반한다.
그러나 많은 투자자들이 불확실성을 받아들이기보다, 특정한 논리를 통해 자신이 내린 투자 결정을 정당화하려 한다.
이 과정에서 흔히 발생하는 문제가 바로 ‘당위성의 함정’이다.
당위성의 함정이란, 어떤 결정이 마치 필연적이고 당연한 것처럼 보이게 만들어 합리적 판단을 저해하는 사고 방식이다. 투자에서 이 함정에 빠지면 감정적이고 비합리적인 선택을 하게 되며, 결국 기대와는 다른 결과를 초래할 가능성이 높다.

1. 당위성의 함정이란?
당위성의 함정은 우리가 특정한 결과가 반드시 일어날 것이라고 믿거나, 어떤 행동이 마땅히 옳다고 생각하는 오류에서 비롯된다.
투자에서 이 함정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나타난다.
"주식은 장기적으로 보면 무조건 오른다."
"이 기업은 혁신적인 기술을 가지고 있으니 반드시 성장할 것이다."
"금리가 낮아졌으니 주가는 오를 수밖에 없다."
"부동산은 절대 손해 보지 않는다."
이러한 믿음은 투자 판단을 단순화하고 심리적 안정을 제공할 수도 있지만, 현실은 훨씬 복잡하다.
경제적, 정치적, 사회적 요인은 끊임없이 변하며, 과거의 법칙이 미래에도 똑같이 적용된다는 보장은 없다.
2. 투자에서 당위성의 함정이 위험한 이유
1) 논리적 오류로 인해 잘못된 투자 판단을 유발한다
투자자는 종종 과거의 패턴을 미래에도 그대로 적용하려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과거에 특정 주식이 꾸준히 상승했기 때문에 앞으로도 계속 오를 것이라고 믿는 것은 ‘귀납적 오류’의 한 형태다.
또한, "이 기업의 CEO는 과거에 성공한 경험이 있으니 이번에도 성공할 것이다"라는 믿음 역시 당위적 사고의 대표적인 사례다.
그러나 환경이 변하면 동일한 전략이 동일한 결과를 보장하지 않는다.
2) 감정적 집착을 유발한다
당위적 사고에 빠지면 투자 결정을 감정적으로 내리기 쉽다.
예를 들어, "이 종목은 반드시 오를 것"이라는 믿음을 가지면 손실이 발생했을 때도 합리적 손절이 어려워진다.
본인의 신념과 반대되는 결과가 나타날 경우 이를 인정하는 대신, 손실을 회피하거나 '조금만 더 기다리면 오를 것'이라고 자기합리화를 하게 된다.
이런 심리는 '손실 회피 편향'과 연결되며, 더욱 큰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
3) 시장의 변화를 놓치게 만든다
투자 시장은 끊임없이 변화한다.
새로운 기술, 규제 변화, 글로벌 경제 흐름 등이 예상치 못한 방식으로 작용할 수 있다.
하지만 당위적 사고에 빠진 투자자는 "이건 변하지 않을 거야"라는 믿음 때문에 중요한 변화를 무시할 가능성이 크다.
예를 들어, 2008년 금융위기 이전까지는 "부동산 가격은 절대 폭락하지 않는다"는 믿음이 강했지만, 실제로는 거품이 꺼지면서 시장이 붕괴했다.
3. 당위성의 함정에서 벗어나기 위한 전략
1) 확률적 사고를 기르기
투자는 필연적인 것이 아니라 확률적인 게임이다.
특정 종목이나 자산군이 상승할 확률이 높을 수도 있지만, 반드시 그렇다는 보장은 없다.
따라서 투자 결정을 내릴 때는 "이 투자가 성공할 확률이 얼마나 될까?"라는 질문을 던지는 습관을 들여야 한다.
2) 다양한 시나리오를 고려하기
당위적 사고에 빠진 투자자는 자신이 기대하는 방향으로만 미래를 예측한다.
이를 피하기 위해서는
**‘만약 예상과 다르게 흘러간다면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라는 시나리오 플래닝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금리가 예상보다 더 빨리 오르면? 기업의 실적이 예상보다 저조하면? 이러한 경우에도 대응할 수 있는 플랜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3) 반대 의견을 경청하기
자신이 확신하는 투자 논리를 깨기 위해서는 반대 의견을 적극적으로 들어야 한다.
예를 들어, 특정 산업이 성장할 것이라고 믿는다면, 그 산업이 실패할 가능성을 주장하는 논리를 찾아보고 검토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렇게 하면 비현실적인 기대를 줄이고, 보다 균형 잡힌 판단을 내릴 수 있다.
4) 감정적 투자를 경계하기
투자는 감정이 아니라 데이터와 논리에 기반해야 한다. 따라서 투자 결정을 내릴 때는 ‘왜 이 투자를 하는가?’에 대해 논리적 근거를 명확히 정리하는 습관이 필요하다.
투자 일지를 작성하거나, 객관적인 데이터를 분석하는 것도 감정적 투자를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4. 결론: 합리적 투자자가 되는 길
당위성의 함정은 우리가 투자를 쉽게 이해하고 싶어 하는 본능에서 비롯된다.
그러나 투자에서 성공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사고방식에서 벗어나야 한다.
세상에 반드시 오르는 자산도, 절대 실패하지 않는 기업도 없다. 투자자는 확률적 사고를 기반으로 다양한 시나리오를 고려하며, 냉정하게 결정을 내려야 한다.
당신이 다음번 투자를 고민할 때, "이건 반드시 오를 거야"라는 생각이 떠오른다면, 한 걸음 물러서서 다시 한번 질문해 보자.
"정말 그런가?"라고.
합리적이고 균형 잡힌 사고가 결국 장기적으로 더 나은 투자 성과를 가져다줄 것이다.

'투자 >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일은 투자왕 - 트럼프시대 투자전략(스탠리 드러켄밀러) (1) | 2025.01.21 |
---|---|
2025 한국 주식시장 전망! 주가는 올해 회복할 것 이선엽 이사 [FULL] [투자Insight] (0) | 2025.01.09 |
2025 경제정책방향 (1) | 2025.01.03 |
2025비즈니스 트렌드 및 관련주 (3) | 2025.01.02 |
평범한 사람도 트레이딩 고수가 되는 방법 <터틀의 방식> (1) | 2024.1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