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주식

2025 경제정책방향

neword_co 2025. 1. 3. 15:26
728x90
반응형

올해 나라살림을 어느방향으로 꾸려갈지
기재부 보도자료를 요약한 것입니다

별첨2_250101 2025년 경제정책방향.pdf
3.25MB

https://www.moef.go.kr/nw/nes/detailNesDtaView.do?searchBbsId1=MOSFBBS_000000000028&searchNttId1=MOSF_000000000072033&menuNo=4010100

기획재정부

2025년 경제정책방향

www.moef.go.kr


내용을 요약해봅니다.



2025년 경제정책방향 요약
---

2025년 경제정책은 민생경제 회복, 대외신인도 관리, 통상환경 불확실성 대응, 산업경쟁력 강화를 중심으로 추진됩니다.

Ⅰ. 경제 상황과 전망

2024년 경기 회복세 둔화, 2025년 성장률 1.8% 전망.

물가는 국제유가 하락으로 안정세(1.8%).

고용 증가폭 축소(12만 명), 생산연령인구 감소가 원인.


Ⅱ. 주요 정책 방향

1. 민생경제 회복

내수 활성화: 18조 원 재정 및 정책금융 투입.

소비 활성화: 세제 혜택(자동차 개소세 인하 등).

서민 부담 완화: 농축수산물 할인, 공공요금 인상 최소화.



2. 대외신인도 관리

금융·외환시장 안정, 외환보유고 활용.

신용등급 유지, 투자유치 홍보 강화.



3. 통상환경 불확실성 대응

첨단기술·공급망 변화 대응, 산업 지원 강화.



4. 산업경쟁력 강화

디지털·그린 경제 중심 R&D 확대.

지방 관광단지와 SOC 조기 착공.




Ⅲ. 중점 추진 과제

농수산물 유통구조 개선, 스마트 농업 확대.

청년·중장년 맞춤형 일자리 창출.

전기차·수소차 보급 확대, 보조금 체계 개선.

공공임대주택 공급 확대, 지방 부동산 규제 완화.


Ⅳ. 결론
2025년은 대내외 불확실성이 높아 민생 안정과 지속 가능한 성장이 목표입니다. 경기·고용 회복과 경제 체질 개선을 위한 구조적 변화가 추진됩니다.





728x90
반응형